김예린   Kim Ye Rin

Interaction

imyerinkim@gmail.com

+82(0)10.7157.1808

감성 기반 내비게이터, 로딩 Emotion Driven Navigator, Roading

Roading은 이동 수단의 단순 탑승자가 자신만의 여정을 만들어가는 능동적 향유자가 될 수 있도록 감성 기반 주행 경험을 제안합니다.

“Roading” proposes an emotion-based driving experience that enables simple passengers of mobility to become active creators who make their journeys.

Context

일상과 떼어놓기 어려운 음료, 커피. 같은 커피도 즐기는 상황에 따라 참 다르게 느껴집니다. 아래 두 커피에 같은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카페인'이라는 커피의 기능성 때문에 마시는 커피는 로봇이 제조하든, 사람이 직접 내리든 큰 상관이 없습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내려 마시는 과정을 가치 있게 느끼는 경우 로봇이 제조하는 커피의 편리함은 매력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효율성을 좇은 기술적 도약이 이뤄지고 있는 시점에서, 사람의 직접적인 행위가 가진 감성적 가치를 반영하지 않는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해 우려하게 되었습니다.

Coffee is a drink that is hard to separate from daily life. The same coffee feels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Can I say that the two coffees below have the same purpose?

When the functionality of coffee "caffeine" is the point of having it, drinking coffee does not matter much whether it is made by a robot or made by a person. However, the convenience of robot-made coffee does not work as an attraction if the user feels the process of brewing it themselves is worthwhile. At a time when technological leaps are being made in pursuit of efficiency in the overall field of society, I have become concerned about changes that do not reflect the emotional values of people's direct actions and their effects.

Problem

이러한 맥락에서 근 미래 우리의 일상을 가장 크게 바꿔놓을 기술 중 하나인 자율주행이 현재의 주행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질문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마치 핸드드립 커피처럼 사용자가 주행 과정에서 의미를 찾는 경우가 분명 존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직접 주행 과정을 즐긴다고 응답한 여러 운전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이들에게 직접 주행은 단순히 내비게이션의 안내를 따라 수행하는 행위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상황에 맞춰 차량을 컨트롤하는 행위였습니다. 결국, 드라이빙이 운전자의 의지를 반영하는 능동적 행위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In this context,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will change our daily lives the most soon, autonomous driving, has led to the question of how to change our current driving experience. This is because, like hand-drip coffee, there will be cases where the user finds meaning in the course of driving.

Interviews with several drivers who said they enjoyed the driving process had something in common. For them, driving was not just an act of following the guidance of the navigation, but an act of actively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end, it was concluded that driving was an active act that reflected the driver's will.

따라서 컨트롤을 중심으로 직접 주행 경험 프로세스를 도식화하여 들여다보았습니다. 직접 주행 경험은 목적지 입력, 경로 옵션 선택, 차량을 컨트롤하는 단계로 이뤄집니다. 컨트롤 단계는 지속적으로 판단과 행위를 발생시켜 일회적 인풋에 그치는 앞의 단계와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컨트롤 단계가 선사해주던 차량과의 풍부한 상호작용이 소거된, 완전 자율주행 상황이 지닌 경험적 여백은 어떻게 채워져야 할까요?

The driving experience process is plotted around the control. The direct driving experience consists of entering destinations, selecting route options, and controlling the vehicle. The control phase c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phase, which was only a one-time input, by constantly generating judgments and actions. How should the empirical margins of fully autonomous driving situations be filled, with the rich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provided by the control stage being eliminated?

현재 자율주행 차를 실내 공간으로 간주, 기존의 실내 활동을 차 안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연구와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직접 주행 경험을 배제한 접근은 결국 직접 주행만이 가진 경험의 가치를 소외시키게 됩니다. 아무리 재미있는 영화를 시청하고, 아무리 편한 좌석에서 휴식을 취해도 대중교통에서의 단조로운 경험과 질적 차이를 느끼기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Currently, research and projects are mostly underway to consider self-driving cars as indoor spaces so that existing indoor activities can be enjoyed in the car, but the approach that excludes traditional driving experience eventually alienates the value of it. No matter how much you watch interesting movies and relax in comfortable seats, it is hard to feel the difference in quality from the monotonous exper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Project Goal

프로젝트의 목표는 실내 활동 기반 디자인과 구분될 수 있는 새로운 주행 경험 ‘감성 기반 주행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입니다. 목표 달성을 위한 디자인 요구사항을 사용자, 인풋, 총체적인 경험을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The goal of the project is to design a new driving experience 'emotion-based driving experience'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indoor activity-based design. Design requirements for achieving goals are organized based on user, input, and overall experience.

Research

디자인을 시작하기에 앞서 감성의 데이터화가 필요했습니다. 우리는 아침에 눈을 떠서 저녁에 잠이 들 때까지 다양한 장소를 옮겨 다니고, 사람들을 만나고, 무언가를 보고 먹습니다. 그 과정에서 애호하는 것이 생기고, 사람들과의 관계가 깊어지고, 감성적인 순간이 탄생합니다. 마음속에만 담겨있을 것 같은 사적인 경험들이 작위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축적되는 곳이 있습니다.

Before I started designing, I needed to work on the datafication of emotions. We open our eyes in the morning and move around various places until we fall asleep in the evening. We meet people and watch and eat something during the day. In the process, affection develops, relationships with people deepen, and emotional moments are born. There are places where personal experiences accumulated in ways that are not contrived.

이는 바로 직접 찍은 사진으로 구성된 갤러리입니다. 제 갤러리에는 몇 년간 오전 시간대에 도봉산을 촬영한 사진이 수도 없이 찍혀있습니다. 사진 그룹에서 사용자의 도봉산 풍경에 대한 애정, 의정부에 거주하며 통학하는 일상 등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우측의 사진은 성북구 석관동을 중심으로 쌓인 사진 중 하나로, 사용자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갤러리에는 사용자가 일상 속에서 직접 자연스럽게 수집한 '몹시 개인적이고 감성적인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으며 시간, 공간, 대상, 사람 네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This is a gallery of photos taken by me. My gallery has taken countless pictures of Dobongsan Mountain in the morning for several years. In the photo group, you can read about my affection for the scenery of Dobongsan Mountain, the daily life of living in Uijeongbu, and commuting to school. The photo on the right is one of the photos piled up around Seokgwan-dong, Seongbuk-gu, showing the user's relationship. The gallery accumulates 'very personal and emotional data' that users naturally collect in their daily lives and provides information based on four factors: time, space, object, and people.

갤러리의 감성적 가치를 잘 활용하고 있는 기존 사례로는 iOS 갤러리의 ‘For You’ 탭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네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그룹화 하여 리마인드, 큐레이션 비디오로 제공해주는 기능입니다. ‘For You’가 사용자가 추억을 즐겁게 회상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주행 경험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까요?

An existing example of taking advantage of the emotional value of the gallery is the 'For You' tab in the iOS gallery. It is a function that groups the four elements mentioned above and provides them as a reminder and curation video. If 'For You' helps users recall memories pleasantly, how should a system be configured for a mobility experience?

Project Goal Update

사용자가 갤러리 데이터의 네 가지 요소를 길 위의 감성적 지표로 마음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단의 최종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습니다.

The end goal below has been set so that users can take full advantage of the four elements of gallery data as emotional indicators on the road.

Concept

목표를 충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고심해본 끝에 나온 컨셉은 Roading입니다. 감성 데이터를 로드하여, 길을 만든다는 뜻 입니다. 또한, 물 흐르듯 이어지는 경험을 주요 디자인 포인트로 잡아 로고 하단의 로딩바 그라데이션으로 표현했습니다.

After ideating various methods to meet the goal, the concept that came out is Roading. It means loading emotional data and creating a path. In addition, the continuous experience like water flow is the main design point, and the loading bar gradation at the bottom of the logo is expressing it.

Experience Flow

1. UpRoading: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경험을 시작하도록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가 자동으로 차량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는 대신 사용자가 스스로 여정을 시작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데이터 업로드 과정을 디자인했습니다.

사용자는 로딩이 필요한 순간에 모바일 기기로 로딩 앱을 실행합니다. 앱이 실행되면 차량 내부 디스플레이에 모바일 기기를 내려놓도록 유도하는 아웃라인이 생성됩니다. 이는 기기에 한정된 사용자 경험이 차량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모바일 기기를 내려놓고 이미지 아이콘을 위로 스와이프 하면 사용자의 갤러리 데이터가 로딩 시스템에 업로드 되기 시작합니다.

The data upload process has been designed to help users feel like they are actively starting their journey instead of automatically integrating the data.

The user runs the Roading app on the mobile device at the moment it needs to be loaded. When the app is launched, an outline is created to induce the mobile device to be put down on the vehicle interior display. This helps extend the device-specific user experience to vehicle space. When you put down your mobile device and swipe the image icon up, your gallery data starts to be uploaded to the system.

2. Draw from Image: 이미지에서 이끌어내는 여정

업로드가 완료되면 대시보드의 맵에 로딩 구역을 그릴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됩니다. 사용자는 일방향적 정보 디스플레이에 불과했던 내비게이션 맵을 손쉽게 수정 가능한 캔버스로 인지하게 됩니다. 또한, 드로잉은 사용자가 본인의 여유시간에 맞춘 방문 가능 범위를 직관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손가락으로 대략적인 탐색 구역을 그리면서 음성으로 원하는 것을 입력하면, 탐색 구역 내 해당하는 이미지가 입력어를 기반으로 로딩됩니다.

When the upload is complete, you enter the mode where you can draw a zone on the map of the dashboard. The user recognizes the navigation map, which was only a one-way information display, as an easily modifiable canvas. In addition, drawing is a way for users to intuitively enter the range of visits tailored to their time. If you input what you want by voice while drawing an approximate search area with your finger, the corresponding image is loaded based on the input.

로딩된 사진 그룹을 대시보드 바깥으로 스와이프 하면 HUD로 확장되어 직관적으로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Swiping a loaded group of pictures out of the dashboard to expand to HUD, allows you to intuitively recognize where the pictures were taken.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크롤링하거나 맵의 핀을 선택하여 목표로 할 이미지를 지정하게 됩니다. 예시 사용자의 경우 오래전 아버지가 직접 데려다 주던 길목의 사진을 발견하고, 해당 사진을 거쳐 가도록 선택합니다. 내비게이션의 루트는 그에 따라 재안내됩니다.

The user specifies the image to target by scrolling the mobile device or selecting pins on the map. For example, the user finds a picture of the street her father took a long time ago, and chooses to go through it. The route of the navigation is guided accordingly.

이미지를 선택한 사용자는 선택 시점 이후에도 계속 연관된 이미지를 보며 새로운 선택을 내릴 수 있습니다. 운전대를 잡은 사용자가 즉흥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게 되는 점에서 착안하였고, 경험의 어느 시점에도 차량의 주행에 개입할 수 있도록 넣은 디테일입니다.

Users who select an image can continue to view other images as well and make new choices. It is based on the activity of users at the wheel that make an impromptu decision. It is a detail to encourage users to easily intervene route of the vehicle at any point in their experience.

3. Image on Road: 마음 속에 그리던 여정을 눈앞에
사용자는 목표했던 사진의 위치에 다다라 원하던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음식 사진을 기반으로 내비게이팅한 사용자는 잠시 내려 식사를 할지 모릅니다. 예시 사용자는 찍었던 현재 풍경을 스쳐 지나가며 감상에 빠질 것입니다. 사진과 사용자의 거리가 근접해졌을 때의 청각적인 뒷받침을 디자인하여 감성적 경험을 한층 더 끌어올려 줄 수 있도록 했습니다.

Users will experience what they want to reach the desired location of the picture. Users who have navigated based on food photos may drop off and eat for a while. The example user will pass by the current landscape and fall in love with it. I designed the auditory suppor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hoto and the user is close to each other to enhance the emotional experience.

4. DownRoading: 마무리

로딩 프로세스 내내 사용자는 위로 스와이프 하며 스크린과 경험을 확장시켰습니다. 사용자는 다운로딩 단계에서 아래로 내려서 담는 제스쳐로 직접 경험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Throughout the process, the user swiped up and expanded the screen and experience. Now the user finishes the experience directly with the gesture of lowering it during the download stage.

5. AfterRoading: 다음 여정을 위하여
저장한 여정은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기기에서 위치별-시간별로 다시 꺼내볼 수 있습니다. 북마크하면 Draw from Image 단계에서 가이드라인으로 꺼내 사용할 수 있습니다.

For Your Next Journey, saved journeys can be retrieved from your mobile device anytime, anywhere, by location-time. Bookmark and use it as a guideline in the Draw from Image step.

Extending Experience

Transforming Experience

김예린   Kim Ye Rin

Interaction

imyerinkim@gmail.com

+82(0)10.7157.1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