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IMM (스밈)
향을 향유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커스터마이징 향 경험 브랜드
01. BACKGROUND
향은 오랜 역사에서 귀족 문화와 연관된 고급 문화적 요소였으나 이제는 누구나 즐기는 감성적인 품목 입니다. 과거에는 귀족계급에서 즐기던 향 문화를 현대 일상생활 가까이에 끌어오면서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향을 향유하는 새로운 방안을 SMIMM(스밈)이 제시 하고자 합니다. SMIMM의 첫번째 프로젝트로 사용자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향의 시각적 무드 경험과 활용이 가능한 키트를 제공합니다.
02. COMPONENTS OF KIT & HOW TO USE
키트구성과 키트이용법
03. TYPES OF FRAGRANCE SHEET
흔히 향수의 기본을 이루는 층 분류 세가지가 있습니다. 향의 가장 밑 바탕이 되며 마지막까지 오래 남는 향으로 흔히 잔향이라 부르는 '베이스', 베이스향과 조화롭게 중간 층을 이루는 '미들', 가장 자극적이며 향의 첫 느낌과 향을 결정짓는 '탑' 이 세 분류 중 베이스로 주로 사용되는 향 중 네가지, 미들과 탑으로 주로 사용되는 향 각각 여섯가지씩을 꼽았습니다. <베이스>는 cotton, marin, powder, sandal wood 네가지의 향과 시트가 있습니다. <미들>은 black cherry, fig, lemon, mango, papaya, rose 여섯가지의 향과 시트가 있습니다. <탑>은 bamboo, eucalyptus, ginger, green tea moringa, vanilla 여섯가지의 향과 시트가 있습니다.
<베이스> <미들> <탑> 각각의 시트에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하나씩 뽑아 향 시트를 커스터마이징 & 레이어링합니다.
04. DESIGN ESSENCE
향이라는 것이 가진 특징 중 분자, 분사, 방사, 레이어드 이 네가지에 초점을 맞춰 브랜드 디자인을 하였습니다. 망점을 이용하여 향의 분자형태를 표현하고자 하였고 향이 레이어링 될 때 마찬가지로 시트의 그래픽도 함께 레이어링 되는 구조를 갖습니다. 모든 향 시트 그래픽은 향의 기원이 되는 대상들에게서 드러나는 형태적, 부분적 특징을 강조하여 패턴화 하였습니다. 베이스시트의 경우 망점의 크기를 가장 작고 밀도있게 배치하고 저채도의 색상을 사용하여 위에 레이어링 되는 다른 시트들의 바탕이 됩니다. 미들시트의 경우 망점의 크기는 베이스시트보다 크게 배치, 중채도의 색상을 사용했습니다. 탑시트의 경우 망점의 크기를 가장 크게, 망점들 간의 밀도가 낮게 배치하였습니다.
김혜선 Hye Seon Kim
Visual Communication
hetsal1225@gmail.com
hyeseonee.creatorlink.net/
+82(0)10.9458-8684